[디자인 카타] 하나의 정보 입력 완료 방식, A와 B는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2025. 7. 16. 10:20
1. 주제 선정
하나의 정보 입력 완료 방식, A와 B는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하나의 정보 입력 완료 방식, A와 B는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요? | 디자이너스
하나의 정보 입력 완료 방식, A와 B는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요?
ko.designus.design
2. 개인 의견
왜 해당 UI가 더 좋은지?
- 눈에 띄는 버튼 디자인: 배경과 색상이 대비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 사용자 중심: 사용자가 입력을 다 한 후에 스스로 버튼을 눌러 이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잘 못 입력했다면 다시 수정하고 원하는 시점에 확인 버튼을 직접 조작할 수 있어서 더 안정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나머지 하나는 왜 선택하지 않았는지?
- 불안정한 경험: 네트워크가 좋지 않은 상황일 경우, 자동으로 이동하는 반응이 느릴 수 있어 오히려 사용자를 헷갈리게 할 수 있다.
- 수정의 어려움: 입력 도중 잘 못 입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글자 수가 채워져 자동으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사용자가 실수를 인지하기도 어렵고, 다시 처음부터 돌아가 수정을 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생긴다.
의견을 뒷받침할 수 있는 사례
-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국가 자격증 시험 정보 포털(e.g. 큐넷) 같은 개인 정보를 다루는 서비스에서도 간편 인증 과정에서 자동 확인 및 섹션 이동 방식은 사용하지 않는다.
3. 공통의견
- 팀원 모두 [CTA 버튼]을 선택
B 라디오 버튼을 선택한 이유
- 실수 인지 가능
- 익숙한 방식
- 신중한 입력
- 명확한 확인버튼
A 슬라이더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
- 실수 인지 불가능
- 수정 과정의 번거로움
- 네트워크 환경 불안정 시 이동의 반응 지연으로 겪는 사용자의 혼란
결론
-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안정적인 방식은 A, CTA 버튼이 더 적합하다.
'UXUI > 디자인 카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 카타] 무선 청소기 동작 버튼 각 디자인에 어떤 의도가 있을까? (2) | 2025.07.23 |
---|---|
[디자인 카타] 채팅 내 금칙어 표시, 각 방식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5.07.21 |
[디자인 카타] 회원가입 생년월일 입력, 키보드와 피커 중 이탈률이 더 낮은 방식은 무엇일까? (0) | 2025.07.18 |
[디자인 카타] 하나의 정보 입력 완료 방식, A와 B는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0) | 2025.07.17 |
[디자인 카타] 점수 평가에 사용할 컴포넌트, 사용성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2)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