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제 선정
진행 단계 표현 어떤 것을 선택하시겠어요?
2. 개인 의견
[A] 선택
왜 해당 UI가 더 좋은지?
-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시선을 덜 집중해도 색상 대비와 막대 길이로 남은 단계를 파악할 수 있어서 편리함
- 단계가 많을 때 적합할 것 같음 → 색상과 길이로 단순화된 정보를 전달해서 인지 부하를 줄이기 때문
나머지 하나는 왜 선택하지 않았는지?
- 몇 번째 단계에 있는지 명확하게 알려주지만, 전체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 단계가 많을수록 숫자가 부담스럽게 느껴질 것 같음
실사례 조사
- A를 뒷받침하는 자료:
로딩 인터페이스의 진행 표시 애니메이션 특성과 표현 형식(예: 바 형태, 원형)이 사용자의 시간 지각·만족도·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 명시적 애니메이션(진행률이 명확히 표시되는 형태, 주로 막대형)은 사용자의 불안감과 대기 시간에 대한 과대평가를 줄이고, 동시에 몰입감과 만족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로딩 인터페이스의 진행 표시 애니메이션 특성과 표현 형식이 사용자 시간 지각과 만족도에 미
디지털 인터랙티브 환경에서 로딩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대기 상태에서 핵심적인 시각적 요소로 작용하며, 사용자의 감정 반응 및 시간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진행 표시 애니메이션
www.kci.go.kr
3. 공통의견 및 정리
✊ 팀원 2명 [A] 선택
✊ 팀원 2명 [B] 선택
📖A 선택 이유 정리
- 장점
- 색상 대비와 막대 길이로 한눈에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음
- 숫자 대신 단순한 비율로 보여줘서 부담이 적음
- 화면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음
- 단계 수가 변해도 시각적으로 크게 달라지지 않음
- 단점
- 정확히 몇 단계 중 몇 번째인지 알기 어려움
- 남은 단계 수를 추측해야 해서 불편함
📖B 선택 이유 정리
- 장점
- 현재 단계와 총 단계 수를 정확히 알 수 있음
- 얼마나 남았는지 예측 가능함
- 단계 구조가 명확해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줌
- 단점
- 숫자나 텍스트 크기 때문에 UI 에서 시각적 비중이 큼
- 단계가 많아질수록 부담스럽고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음
- 중간에 단계가 추가되면(3/5 → 3/6)즉각적인 변화가 드러나 심리적 저항이 발생할 수 있음
결론
- A방식이 진행 상황을 직관적으로 보여줘 이해가 쉽고, 단계가 많아도 색상과 길이로 단순하게 표현해 인지 부하를 줄일 수 있어 더 적합하다.
'UXUI > 디자인 카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 카타] 지도 화면에서 버튼을 어떻게 보여주는 것이 편할까요? (0) | 2025.09.05 |
---|---|
[디자인 카타] 보안 비밀번호 입력 유저 경험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5.09.03 |
[디자인 카타] 회원가입 뷰에서의 힌트 텍스트 어떻게 입력할까? (0) | 2025.09.02 |
[디자인 카타] 상품 정보의 위치 어떤 것을 선택할까? (0) | 2025.09.01 |
[디자인 카타] 보안 알림의 버튼 색 조합, A와 B는 각각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있을까? (0) | 2025.08.29 |